변응몽묘(卞應夢墓) 변응몽묘(卞應夢墓) 조선중기 문신으로 본관은 밀양이며 자는 서옹이다. 합천군수를 지냈으며, 궁중의식과 관련된 일을 보던 통계원의 정3품 벼슬을 지냈다. 경기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변종인묘 주위에 모셔져 있으며, 부인 숙인 완산이씨와 숙인 광주안씨가 함께 묻힌 합장묘이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4.11.12
변종인묘(卞宗仁墓) 변종인묘(卞宗仁墓)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산63-9에 조선 전기 무신으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여진족을 격퇴하여 가선대부, 행온성도호부사, 공조참판, 전라도병마절도사, 영안북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낸 본관이 밀양이고 자는 자원, 시호가 공장이신 공장공 변종인의 묘와 신..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4.11.12
영릉(寧陵) 영릉(寧陵) 영릉은 효종대왕과 인선왕후의 능이다. 효종은 조선 제 17대임금으로 즉위하여 재위 10년 춘추 41세로 승하하셨다. 북벌계획을 세우고 국방력을 강화하여 그 뜻을 펴고자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셨다. 경기도 양주의 건원릉 서쪽에 있었던 것을 현종14년(1673)에 여주로 옮겨 왔으..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4.09.27
영릉(英陵) 영릉(英陵)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 269-50에 조선조 4대 임금 세종대왕과 소헌왕후를 합장한 세계문화유산 사적 제 195호인 영릉이 자리잡고 있다. 넓은 주차장이 있고 입장료는 성인 1인당 500원이며 09시부터 18시(동절기는 17시)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영릉은..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4.09.24
윤관장군묘(尹瓘將軍墓) 윤관장군묘(尹瓘將軍墓)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분수1리 산 4-1에 위치하고 있는 사적 제323호 윤관장군묘는 고려 예종때 여진정벌에 큰공을 세운 문신이며 명장인 윤관의 묘이다. 여충사에서 윤관장군의 영정을 모시고 매년 제사를 지내고 있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10.31
광릉(光陵) 광릉(光陵)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354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사적 제197호 광릉은 조선 제7대 세조와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능이 있는 곳이다. 1468년 예종 즉위년 세조가 안장되었고, 1483년 성종14년 정희왕후가 안장되어 한 언덕에 왕과 왕비를 따로 모시는 동원이강릉으..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10.22
남이장군 허묘(南怡將軍 墟墓) 남이장군 허묘(南怡將軍 墟墓) 강원도 춘천시 방하리 남이섬내에는 남이장군 허묘가 있다. 남이장군은 조선 세조 때의 무신으로 태종의 외증손이며 17세 때 무과에 장원급제 하였습니다. 1467년(세조 13) 이시애의 반란을 토벌하여 적개공신 1등에 올랐으며, 27세의 젊은 나이로 병조판서가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05.16
도산 안창호선생묘(島山 安昌浩先生墓) 도산 안창호선생묘(島山 安昌浩先生墓) 인재양성과 경제번영을 민족발전의 기초로 여기고 교육과 산업에 힘을 기울여 무실역행 정신을 바탕으로 대성학교, 흥사단 등을 만드셨고 구구운동에 앞장서다 중국 상해에서 일제경찰에 붙잡혀 국내에서 옥살이를 하다 돌아가신 선생은 망우리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03.13
김인환묘(金寅煥墓) 김인환묘(金寅煥墓) 김인환은 농학자이며 농림행정가로 본관은 의성이며 경상북도 청송에서 태어났다. 1943년 일본 큐슈대학교 농학부를 졸업하고, 1968년 서울대학교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8.5.10부터 1980.6.1까지 농촌진흥청장으로 재직하면서 통일벼를 개발.보급하여 쌀의 자급자족..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