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英園). 회인원(懷仁園) 영원(英園). 회인원(懷仁園) 조선 제 26대 고종황제의 셋째 아들이며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의민황태자 영친왕 이은과 황태자비 방자여사가 묻힌 묘소이다. 순헌황귀비 엄씨 소생으로 고종 광무 4년(1900) 영친왕에 책봉되고, 순종 원년(1907) 황태자가 되었다. 11세때 강제로 일본으로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1
수인당 김씨묘(修仁堂 金氏墓) 수인당 김씨묘(修仁堂 金氏墓) 수인당 김씨는 의친왕의 후실로 이름은 흥인이다. 슬하에 세명의 아들을 두었다. 2남 이우, 5남 이주, 6남 이곤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 권역내 후궁묘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비공개 묘역이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09.30
휘경원(徽慶園) 휘경원(徽慶園) 사적 제 360호인 휘경원은 조선 왕조 제22대 임금인 정조의 후궁이며 제23대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의 묘가 있는 곳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267에 자리잡고 있다. 순조 22년 12월 창덕궁 보경당에서 별세하여 동대문밖 배봉산 자락에 묘를 쓰고 휘경원이라 했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09.29
홍릉(洪陵). 유릉(裕陵) 홍릉(洪陵). 유릉(裕陵) 경기도 남얀주시 홍유릉로 352-1에 있는 홍.유릉은 고종황제와 순종황제의 왕릉이 있는 곳으로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09시부터 18시까지 입장료 1,000원을 받고 공개한다. 주차료는 별도로 없고, 조선왕릉 동부지구관리소에서 관리한다. 홍릉은 흥선대원군 이하응..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09.28
의친왕묘(義親王墓) 의친왕묘(義親王墓) 의친왕묘는 남양주 홍.유릉 외재실 옆으로 난 길을 따라 20여분 걸으면 덕혜옹주묘 근방에 있다. 고종의 다섯째 아들로 귀인 장씨의 소생이며 영친왕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강이다. 1891년 의화군에 봉해졌고, 1900년 의친왕에 봉해졌다. 일본 특사로 외국 여러나라를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09.28
귀인 덕수장씨묘(貴人 德水張氏墓) 귀인 덕수장씨묘(貴人 德水張氏墓) 고종의 다섯째 아들 의친왕의 친모이며 고종의 후궁인 덕수장씨의 묘이다. 서삼릉 인근에 위치하고 있던 묘를 2009년 6월에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홍.유릉 후궁묘역으로 이장하였다. 덕수장씨 묘역은 2006년 7월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지정문화재로 지..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09.26
사릉(思陵) 사릉(思陵) 사적 제 209호 조선 6대 단종임금의 비 정순왕후의 능이 있는 사릉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 180에 위치하고 있으며 입장료는 성인 1인 1,000원이다. 주차장은 20여대 주차할 수 있으며 월요일은 휴무일이다. 단종임금이 17세의 어린 나이에 죽임을 당한 후 매일 정업원(..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09.25
광해군묘(光海君墓) 광해군묘(光海君墓)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 영락교회 공원묘역을 지나서 있는 사적 제 363호 비운의 임금이신 광해군묘를 다녀왔다. 조선조 15대 임금으로 15년간 재위하다 폐위된 광해군과 왕비였던 문성군부인 류씨의 묘가 나란히 누워 있다. 광해군은 폐위되어 1641년 7월 제주..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09.24
광릉(光陵) 광릉(光陵) 조선 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에 이르는데 능이 42기, 원이 13기, 묘가 64기이다. 42기의 능 가운데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 능)과 후릉(정종과 정안왕후 능)이 북한에 있고, 나머자 40기는 남한에 있다. 광릉은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이 있는 곳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09.24
수성동계곡(水聲洞溪谷) 수성동계곡(水聲洞溪谷) 서울 종로구 옥인동에 있는 수성동계곡은 누상동과 옥인동의 경계에 위치한 인왕산 아래 첫 계곡으로 조선시대 물소리가 유명한 계곡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 31호로 계곡의 길이는 총 190.8m이고 폭은 최대 26.2m, 최소 4.8m에 이르며 지금..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산행일지(둘레길, 계곡포함) 2015.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