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양조씨 시조묘(豊壤趙氏 始祖墓) 풍양조씨 시조묘(豊壤趙氏 始祖墓) 고려시대 개국공신으로 문하시중을 지낸 풍양조씨의 시조인 조맹의 묘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다. 위로는 광해군의 어머니인 공빈김씨의 묘인 성묘가 있다. 입구에는 신도비가 있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11
정원희묘(鄭元禧墓) 정원희묘(鄭元禧墓) 경기도 남양주시 사릉내에 있는 정원희묘는 가선대부 혜령군 정원희와 정부인 성주김씨의 묘이다. 정원희의 증조부는 형조참판 정종이고, 조부는 해평부원군 정미수이며 부친은 해림군 정승휴이다. 정원희는 본관이 해주로 사헌부 감찰을 역임하고 호조참판겸 오위..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10
수관당정씨묘(修觀堂鄭氏墓) 수관당정씨묘(修觀堂鄭氏墓) 조선 고종임금의 아들인 의친왕의 후실로 슬하에 자녀 1남을 두었는데 이름이 건이다. 묘는 서삼릉 귀인 장씨 묘역내에 있었으나 2009년 6월에 홍유릉내 후궁묘역으로 이장되었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8
광화당이씨묘(光華堂李氏墓) 광화당이씨묘(光華堂李氏墓) 14세때 나인으로 입궁하여 22세에 고종의 후궁으로 들어가서 1914년 왕자 육을 낳았으나 곧 숨지고 고종이 승하하자 평생 그늘속에서 살다 82세로 종로구 사간동에서 별세했다. 광화당이씨의 본명은 이완덕이다. 묘는 금곡동 담장밖 남쪽 산소에 안장되어 있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7
정미수묘(鄭眉壽墓) 정미수묘(鄭眉壽墓) 정미수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 180 사릉내에 있는 묘소로 사릉에 입장하여 사릉을 관람하고 안내를 받아서 가야하는 비공개 묘역이다. 정미수는 본관이 해주로 조선 5대 임금 문종의 부마인 영양위 정종과 문종의 딸이며 단종임금의 누이인 경혜공주와의..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7
성묘(成墓) 성묘(成墓) 성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송릉리에 있는 조선 14대 임금인 선조의 후궁 공빈김씨의 묘로 사적 제 365호이다. 공빈김씨는 조선 15대 임금 광해군과 형인 임해군의 생모이다. 지정면적 1,785㎡인 성묘에는 곡장, 난간석, 석호, 석양 등이 있으며, 봉분 전면에는 혼유석, 문인석..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6
덕혜옹주묘(德慧翁主墓) 덕혜옹주묘(德慧翁主墓) 조선 제26대 고종황제와 양귀인 사이에서 1912년에 태어난 고명딸 덕혜옹주의 묘가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홍유릉 권역내에 있다. 홍유릉 외곽으로 걷다보면 영친왕의 영원이 있고, 조금 더 가면 의친왕묘 가는 길에 있다. 1921년 덕혜옹주에 봉해졌고, 어린 옹주..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5
삼축당김씨묘(三祝堂金氏墓) 삼축당김씨묘(三祝堂金氏墓) 삼축당 김씨의 이름은 김옥기로 8세때 나인으로 입궁하여 21세때 고종의 승은을 입은 고종의 8번째 후궁이다. 말년에는 비구니로 불교에 귀의해 "실상행"이란 법명을 받았고, 1970년 9월23일 돌아가셔서 홍유릉 경내 후궁묘역에 묻혀 있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3
임해군묘(臨海君墓) 임해군묘(臨海君墓) 조선의 14대 선조임금과 공빈 김씨사이에서 태어난 장자 임해군과 부인 허씨와의 합장묘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에 위치하고 있다. 동네 야산을 올라가야 하는데 길 안내가 제대로 안되어 있고 산길도 찾기가 어려워서 되돌아 올 수도 있는 길이라 제대로 표지 안..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2
순강원(順康園) 순강원(順康園) 사적 제 356호인 순강원은 조선 14대 선조의 후궁 인빈 김씨의 묘이다. 원종(정원군)을 포함하여 4남5녀를 두었으며 광해군 5년(1613) 생을 마쳐 순강원에 묻혔으며, 위패는 서울 궁정동 칠궁 저경궁에 봉안되었다. 봉분 주위로 곡담이 둘러 있으며 묘비석을 비롯하여 여러 석..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5.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