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월암(看月庵) 간월암(看月庵) 충청남도 서산시 간월도 끝자락에 자리잡은 간월암은 간조시에는 바닷물이 빠지면서 길이 생겨 간월도와 연결되고 만조시에는 바닷물이 길을 막아 바위섬이 되는 신비로운 암자로 만조시에는 물위에 떠있는 배처럼 보인다. 과거에 피안도 피안사로 불리며 밀물시 물위..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3.06.17
연화사 연화사 봉제산을 올랐다가 봉수대에서 내려오는 길 서울 강서구 등촌2동 산23-35번지에 대한불교태고종 법성사절 연화가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극락전, 산신각, 관세음보살, 석등과 오층석탑, 종무소가 있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3.02.27
청련암(靑蓮庵) 청련암(靑蓮庵) 경기도 수원시 조원동 474-1번지 광교산 오르는 길에 대한불교조계종 청련암이 자리잡고 있다. 조선 정조1년(1777년) 비구니 청련스님이 심락서 등의 시주를 받아 새로 절을 짓고 이름을 따서 청련이라 하였다고 한다. 고종30년(1893년) 극락보전을 세웠고, 1902년 영친왕의 생..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3.01.31
봉녕사(奉寧寺) 봉녕사(奉寧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로 광교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봉녕사는 고려 희종4년 1208년에 원각국사가 창건하여 성창사라 하였고 1400년경 봉덕사로 개칭하여 오다가 조선 예종원년 1469년에 혜각국사가 중수하고 봉녕사라 하였다. 일주문을 지나 경내에는 대..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3.01.24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瑞鳳寺址 玄悟國師塔碑)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瑞鳳寺址 玄悟國師塔碑) 서봉사의 창건에 대한 기록은 없고 절터의 크기로 보아 아주 큰 규모의 절로 추정된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는 임진왜란 때 절에서 떠내려오는 쌀뜨물이 10리나 흘러내려와 왜적이 물을 따라 올라가서 절을 불태웠다고 한다. 고려 명종 15..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3.01.21
해동용궁사(海東龍宮寺) 해동용궁사(海東龍宮寺) 부산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416-3(기장읍 용궁길 86) 동해의 최남단에 한국 3대관음성지의 하나인 해동용궁사가 바위위에서 바다를 내려다 보고 있다. 용궁사는 1376년 고려 공민왕의 왕사였던 나옹대사께서 창건하셨다. 바다와 용과 관음대불이 조화를 이루어 신앙..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2.12.29
범어사(梵魚寺) 범어사(梵魚寺) 부산 금정구 청룡동 546-1에 있는 범어사는 신라 문무왕(678년) 의상대사가 해동의 화엄십찰중의 하나로 창건하였고 흥덕왕때 중건했다. 그러나 임진왜란때 거의 소실되어 광해군 5년(1613년) 묘전화상, 해민스님 등이 법당과 요사 등을 중건.중수하였고 현존하는 대웅전과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2.12.23
보덕사(報德寺) 보덕사(報德寺) 영월에 있는 단종임금이 모셔진 장릉을 돌아보고 근처에 있는 보덕사를 다녀왔다. 신라시대 신문왕때 의상대사가 지덕사라는 이름으로 창건 한 것으로 전해져 오고 있으며 단종임금이 유배되자 노릉사라고 이름을 바꾸었다가 장릉의 원찰로 지정되면서 보덕사로 개칭했..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2.11.02
청련사(靑蓮寺) 청련사(靑蓮寺)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180에 한국불교 태고종의 말사인 청련사가 있다. 서기 827년 신라 흥덕왕 2년때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 에 안정사란 이름으로 지어져서 1395년 조선 태조 4년 무학대사가 중창하면서 청련사로 바뀌었다 한다. 그 후에 많은 사람들이 중수.중창하..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2.08.24
광은사(廣恩寺) 광은사(廣恩寺)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 629-1 현 위치에는 1922년 창건된 대한불교조계종 광은사가 자리하고 있다. 1988년 전통사찰 제 94호로 등록되어 있다.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로는 300여년 전부터 사찰이 있었다 하며, 1959년 화재로 법당이 전소되었고 2004년 전통기법으로 중건하였..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2.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