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제산(鳳啼山) 봉제산(鳳啼山) 높이 117m의 낮은 봉제산이 강서구에 있다. 까치산 지하철역에서 전통시장쪽으로 들어가 끝나는 지점에서 좌측 언덕으로 계속 올라가니 마을버스정류장 봉제정상이 나온다. 이 곳에서 시작하여 둘레길을 따라 걷다보면 담소터가 나오고 배드민턴장도 나오고 철쭉동산과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산행일지(둘레길, 계곡포함) 2013.03.02
연화사 연화사 봉제산을 올랐다가 봉수대에서 내려오는 길 서울 강서구 등촌2동 산23-35번지에 대한불교태고종 법성사절 연화가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극락전, 산신각, 관세음보살, 석등과 오층석탑, 종무소가 있다.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3.02.27
가마솥이천쌀밥집 가마솥이천쌀밥집 이천에서 온천욕을 하고 이천쌀밥을 먹기위해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가마솥이천쌀밥집을 갔다. 경기도 이천시 사음동 13-1(전화 : 031-633-8818)에 있는 이 집은 조용하고 시골냄새가 나는 분위기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가마솥쌀밥정식을 시켜 먹었는데 배가 고파서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내가 다녀본 맛집 2013.02.23
수원 진미통닭집 수원 진미통닭집 수원시 팔달구 남문근처에 있는 시장골목에 들어서면 통닭골목이 있다. 그 중에서도 진미통닭집이 유명하다하여 찾아갔다. 번호표를 받고 기다려야 차례가 오는 이 집은 밖에 기름 가마솥 두개가 정신없이 통닭을 튀겨낸다. 허름한 건물에 다른 집보다는 넓은데 저녁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내가 다녀본 맛집 2013.02.04
김인환묘(金寅煥墓) 김인환묘(金寅煥墓) 김인환은 농학자이며 농림행정가로 본관은 의성이며 경상북도 청송에서 태어났다. 1943년 일본 큐슈대학교 농학부를 졸업하고, 1968년 서울대학교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8.5.10부터 1980.6.1까지 농촌진흥청장으로 재직하면서 통일벼를 개발.보급하여 쌀의 자급자족..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02.02
우장춘박사묘(禹長春博士墓) 우장춘박사묘(禹長春博士墓) 우장춘박사는 1898년 우범선과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1950년 귀국하여 10여년동안 한국농업과학연구소장, 중앙원예기술원장, 원예시험장장을 역임하면서 일본에 의존하던 채소종자를 국내에서 지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우리나라..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02.01
청련암(靑蓮庵) 청련암(靑蓮庵) 경기도 수원시 조원동 474-1번지 광교산 오르는 길에 대한불교조계종 청련암이 자리잡고 있다. 조선 정조1년(1777년) 비구니 청련스님이 심락서 등의 시주를 받아 새로 절을 짓고 이름을 따서 청련이라 하였다고 한다. 고종30년(1893년) 극락보전을 세웠고, 1902년 영친왕의 생..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사찰탐방 2013.01.31
이고선생묘(李皐先生墓) 이고선생묘(李皐先生墓) 이고는 본관은 여주이고 호는 망천이며 사온령군 이윤방의 아들이다. 고려말 관직에 나아가 한림원학사에 올랐으나 고려가 쇠망해 수원으로 내려가 은거하였다. 1795년 정조가 묘역에 치제하면서 팔달산주인으로 일컬어 수원의 대표적 인물로 알려지게 되었다.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01.30
정유선생묘(鄭裕先生墓) 정유선생묘(鄭裕先生墓) 정유는 조선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온양이고 자는 공탁, 호는 양진당이다. 정수강의 아들로 1528년 사마시 합격후 대사간, 대사헌,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묘는 쌍분형태로 정수강 묘역 하단에 서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총높이 175cm의 묘갈과 혼유석, ..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01.27
혜령군묘(惠寧君墓) 혜령군묘(惠寧君墓) 혜령군은 조선 태종임금의 5남으로 이름은 이지이고 자는 선여, 호는 동계이다. 34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한 혜령군의 묘소는 수원시 동문 안쪽에 위치했었는데 세종임금의 명으로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234번지 경좌로 옮겼다. 2008년 광교역사공원 조성을 위해 심온.. 산과 물과 맛을 찾아서/능(陵) 및 묘(墓)탐방 2013.01.26